[이코노미세계]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1월 원재료수입물가가 59.0% 급등하면서, 생산자물가가 7.9%p 만큼 상승압력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으로 당분간 국제원재료 가격의 고공행진이 지속될 수 있으므로 유류세 인하기간을 연장하고, 국제원재료의 원활한 조달을 지원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올해 1월 중 원재료수입물가는 59.0% 급등하였는데,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른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물가의 급등이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을 주도했다.
실제로 올해 1월 중 유종별 국제원유가격 상승률은 현물가격 기준으로 WTI 68.9%, 브렌트유 65.8%, 두바이유 61.3%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2010년 이후 분기별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원재료 수입물가 1% 상승에 따른 생산자물가 상승폭이 0.13%p로 나타났으므로, 올해 1월 원재료수입물가 59.0% 상승에 따른 생산물가 상승압력은 7.9%p라고 밝혔다.

최근 생산자물가 상승은 1차금속제품, 석탄, 석유제품, 화학제품이 상승 주도로 작년 12월중 생산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9.0% 상승하였는데 부문별로는 상품의 기여도가 7.9%, 서비스가 1.1%였다. 상품의 구성산업별 기여도는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공산품이 7.0%로 가장 높았다.
공산품 구성 업종별 기여도는 제1차 금속이 2.0%로 가장 컸고, 이어서 석탄 및 석유제품 1.5%, 화학제품 1.4% 등의 순이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원유?천연가스 등 국제원재료가격의 고공행진으로 당분간 생산자물가의 상승세는 지속질 것으로 보인다”며, “생산자물가는 국제원재료가격의 변동에 민감주5)하게 반응하는 만큼, 올 4월까지로 한정된 유류세 인하조치를 연장하고 국제원재료의 원활한 조달을 위한 지원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