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세계] 고양시가 신도시 개발을 계기로 급격히 성장했지만, 외곽 지역의 대중교통 사각지대는 여전하다. 10월 21일 열린 제298회 고양시의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김희섭 의원은 5분 자유발언을 통해 “고양시 곳곳에서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아 주민 불편이 심각하다”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특히 일산서구 구산동·가좌동 일대를 ‘교통섬’으로 표현하며, “대화역까지 자동차로 20분이면 도착하지만, 버스로는 1시간 반 이상이 걸린다”며 현실을 지적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최소 두세 번 환승을 거쳐야 생활권 이동이 가능하며, 특히 학생들의 통학길은 ‘지옥버스’로 불릴 만큼 혼잡하다. “가좌고 학생들은 등교길 버스가 만원이라 눈앞에서 여러 대를 그냥 보내는 일이 다반사”라는 하소연이 이어졌다.
현재 고양시는 식사·고봉동, 덕은·향동지구에 ‘경기도형 수요응답형 버스(똑버스)’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정작 일산서구는 이 정책의 대상에서 제외됐다. 김 의원은 “도시의 외곽이자 도농복합지대인 일산서구가 교통망 확충에서 배제돼, 교통복지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경기도의 다른 지자체들은 상황이 다르다. 이미 110여 개 지방자치단체가 공공형 택시 조례를 제정, 농어촌·교통취약지 주민에게 저렴한 요금으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경기도 내에서도 18개 시·군이 복지택시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나, 고양시는 “예산 부족”을 이유로 시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 주민들은 민원과 탄원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으나, “시로부터 실질적 답변이나 개선안은 받지 못했다”는 게 김 의원의 지적이다.
교통 사각지대의 문제는 단순한 편의의 문제가 아니다. 김 의원은 “특히 어르신들이 병원, 복지관, 전통시장 등을 이용하기 어려워 생활기반 접근성 자체가 떨어지고 있다”며 “대중교통은 복지의 영역을 넘어 생존권 보장의 기본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일산서구 일부 마을은 시내버스 노선이 끊겨 주민들이 도보로 20~30분 이상 이동해야 정류장에 닿는다. 이 같은 문제는 도시 내 불균형한 교통정책이 낳은 구조적 한계로 지적된다.
전문가들은 “고양시가 GTX, 신도시 중심 교통망에만 집중한 결과, 구도심과 외곽의 생활권 단절이 심화되고 있다”고 분석한다.
김희섭 의원은 이번 임시회에서 ‘고양시 이음택시 운영 및 지원 조례안’을 공동 발의했다. 이 조례안은 대중교통 취약지역 주민의 교통비 일부를 시가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고덕희 의원과 함께 추진 중이다.
이 조례가 통과될 경우, 고양시 외곽 주민들도 저렴한 비용으로 공공형 택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경기도 복지택시 정책과 유사한 형태로, 향후 고양시형 ‘교통복지 모델’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다만, 일각에서는 “지속 가능한 예산 구조가 마련되지 않으면 단기성 지원에 그칠 수 있다”며 제도의 안정적 재정 확보를 과제로 꼽는다. 또한 “버스 노선 조정, 환승 체계 개선, 도보 연결망 확충 등 종합적 교통복지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희섭 의원은 “사각지대 없는 교통복지와 이동권 보장을 통해 고양시민 누구나, 어디서든 안전하고 편리한 일상을 누릴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고양시는 수도권 북부의 대표 도시로 성장했지만, 교통의 형평성은 여전히 숙제로 남아 있다. 교통복지의 격차는 도시 경쟁력의 문제이자, 시민의 삶의 질을 결정짓는 요소다. 이번 ‘이음택시 조례’ 논의가 고양시 교통정책의 새로운 전환점이 될 수 있을지, 지역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