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경일 파주시장. |
[이코노미세계] 파주시가 18일 장단면 일대 민통선 마을 주민들과 이동시장실을 열어 남북 접경지대의 고조된 군사 긴장으로 인한 주민 피해 실상을 청취했다.
당초 대성동 마을 방문 계획이 무산되어 임진각 내 민방위대피소에서 개최된 이번 행사에는 조산리 대성동 마을, 백연리 통일촌, 동파리 해마루촌 등 민통선마을 주민 30여 명이 참석했다.
주민들은 9월 28일부터 시작된 북한의 대남확성기 방송으로 인한 극심한 고통을 토로했다. 한 70대 여성 주민은 "북한의 소음공격 때문에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라며 "쉬지 않고 흘러나오는 소음에 옆 사람과 대화도 나눌 수 없고 밤잠도 이룰 수 없다"고 호소했다.
주민들에 따르면, 이번 방송은 여우, 들개, 까마귀 등 동물의 울음소리부터 쇠뭉치를 긁는 소리, 기계음 등 기괴한 소리가 밤낮으로 들려와 대부분이 불면증과 노이로제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누구라도 이곳에 와서 하룻밤만 지내보라"며 "너무 고통스럽고 아프다. 제발 살려달라"는 절박한 호소도 있었다.
통일촌 이완배 이장은 "탈북민들의 표현의 자유를 운운하고, 북한 주민의 인권을 위해서라는데, 민통선 주민들에게는 인권이 없는 것인가"라고 반문하며 정부의 미온적인 대응을 비판했다.
김경일 파주시장은 "지금 파주시민들의 불안과 고통이 갈수록 커지고 있고 생명과 안전이 모두 위협받는 엄중한 상황"이라며 "위험구역 설정에 따라 확보하게 된 지자체 권한을 최대한 활용해, 대북전단 살포행위 적발과 단속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최근 파주, 연천, 김포 등 3개 시군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했다. 이에 따라 앞으로 대북전단 살포행위자들의 출입금지 명령을 내릴 수 있고, 명령 불응 시 특별사법경찰을 투입해 강제 퇴거 및 형사처벌이 가능해졌다.
파주시는 주민들의 안전과 생명 보호를 위해 대북전단 살포 방지에 모든 행정력을 동원할 것임을 강조했다. 접경지역 주민들의 고통이 계속되는 가운데, 정부와 지자체의 실효성 있는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코노미세계 / 김나경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