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와 지방 협력 통한 지속가능 도시 조성 시급”

[이코노미세계] '지속가능한 도시의 해답은 어디에 있을까.' 안양시가 비엔나에서 그 해법을 찾고 있다. 아스페른 신도시의 스마트시티 모델과 비너보겐의 사회주택 정책은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을 준비 중인 안양시에 구체적 영감을 던졌다. 단순한 개발을 넘어 ‘삶의 질 향상과 사회적 통합’을 동시에 달성하는 유럽식 도시혁신이 한국 지방도시 정책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8월 30일 최대호 안양시장은 오스트리아 비엔나 동쪽 도나우 강변의 아스페른 지구를 찾았다. 이곳은 단순한 신도시가 아니라 스마트시티, 친환경 인프라, 미래 교통체계를 아우르는 실험장이었다.
빈3420 도시개발사가 추진하는 아스페른은 ‘지속가능 도시’를 위한 유럽의 대표 모델로 꼽힌다. 재생에너지 기반 인프라, 자율주행 및 친환경 교통망, 그리고 탄소중립을 목표로 한 건축 설계가 핵심이다.
최 시장은 “도시가 어떻게 변해야 하는지를 보여주는 현장이었다”며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에도 큰 영감을 줬다”고 강조했다.
아스페른을 둘러본 뒤 방문단은 유럽 최대 공공임대주택 관리 조직인 비너보겐(Wiener Wohnen)의 현장을 찾았다. 이곳에서 접한 운영 원칙은 단순한 주거 안정 차원을 넘어 ‘사회적 통합’을 목표로 했다.
비엔나시는 주택세 일부와 공적 기금을 활용해 토지를 확보하고,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재원을 바탕으로 사회주택을 건설한다. 임대료는 소득 수준에 따라 합리적으로 책정되며, 저소득층뿐 아니라 중산층까지 입주할 수 있다. 이는 ‘소셜 믹스’를 실현해 계층 간 단절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최 시장은 “주거 안정성과 사회 통합을 동시에 달성하는 체계가 인상 깊었다”며 “우리 시도 국가와 지방이 힘을 모아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안양시가 준비 중인 박달스마트밸리 사업은 군사시설 이전 부지를 활용한 대규모 도시개발 프로젝트다. 단순한 산업단지가 아니라 연구·산업·주거가 결합된 미래형 도시로 설계된다.
비엔나 사례에서 얻은 교훈은 두 가지다. 첫째, 스마트 인프라와 친환경 교통체계의 통합이다. 박달지구 개발 역시 신재생에너지 활용과 스마트 교통망 구축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 둘째, 사회주택 모델의 도입이다. 공공주택 공급을 단순한 주거복지 차원이 아니라 지역사회 통합과 혁신 인재 유치를 위한 전략으로 전환해야 한다.
경제 전문가들은 “스마트시티와 사회주택을 결합한 모델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청년층 정착 유도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고 평가한다. 실제로 아스페른 사례에서도 ICT 기업, 스타트업이 유입되며 새로운 산업생태계가 형성됐다.
안양시민 박성민(38) 씨는 “개발만 강조되는 기존 방식보다 주거 안정과 삶의 질까지 고려한다니 기대가 된다”며 “특히 청년층에게 실질적인 주거 혜택이 돌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국토연구원 도시정책센터 관계자는 “유럽의 사회주택은 단순히 집을 제공하는 게 아니라 도시경제와 사회 통합을 견인하는 장치”라며 “안양이 비엔나 모델을 적절히 변용한다면 수도권 서남부 거점으로 도약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한계도 존재한다. 한국은 토지비용과 재정 제약으로 인해 유럽식 사회주택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렵다. 또한 주민 수용성,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 재원 분담 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이번 비엔나 방문이 안양시 정책 전환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청년·신혼부부 주거 안정, 혁신기업 유치, 친환경 도시 인프라 구축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경우 경제적 파급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최 시장은 귀국길에 “분주한 일정 속에서도 지속가능 도시의 해법을 찾을 수 있었다”며 “이번 여정에서 배운 정책들을 바탕으로 더 나은 안양을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안양시의 비엔나 탐방은 단순한 해외연수가 아니라 지속가능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전략적 학습이었다. 스마트시티와 사회주택이라는 두 축을 어떻게 한국 지방도시의 맥락에 맞게 변용하느냐가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경제와 복지, 혁신과 포용을 동시에 잡는 도시모델이 구현될 때, 안양은 수도권을 넘어 전국 도시정책의 새로운 전범(典範)이 될 수 있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