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세계] 8월 1일 가평군은 기록적인 집중호우로 하천 범람과 침수 피해를 겪었다. 수십 가구가 집과 생계를 잃고 주민 수백 명이 긴급 대피하는 등 지역사회는 큰 충격에 휩싸였다. 이때 의정부시의회가 가장 먼저 현장으로 달려갔다.
의장 김연균을 비롯해 시의원과 의회사무국 직원 등 30여 명은 장화를 신고 진흙과 쓰레기가 뒤섞인 마을에 직접 들어가 복구 작업에 참여했다. 단순히 성금만 전달하는 형식적인 지원이 아니라, 삶의 현장을 함께 복원하는 ‘땀의 연대’를 실천한 것이다.
“집안 가재도구가 다 떠내려갔습니다. 그런데 의정부에서 이렇게 직접 와주실 줄은 몰랐어요. 힘이 납니다.” 가평군 청평면에서 만난 이 모(63) 씨는 눈시울을 붉혔다. 그는 폭우 직후, 무릎까지 차오른 물살을 피해 겨우 몸만 빠져나왔지만, 삶의 터전은 흔적 없이 사라졌다.
또 다른 주민 김 모(48) 씨는 “봉사자들이 함께 쓰레기를 치워주니 ‘혼자가 아니다’라는 생각이 든다”며 “빨리 장사도 다시 시작할 수 있도록 복구가 잘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현장 봉사와 더불어 의정부시의회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성금 300만 원을 기탁했다. 이는 단순한 일회성 지원을 넘어 ‘재난 대응에서 지방의회의 역할’을 강조하는 상징적 행보로 평가된다.
김연균 의장은 “자연재해 앞에서는 행정 구역의 경계를 넘어선 연대와 협력이 필요하다”며 “가평 주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돌아가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번 사례는 단순한 봉사활동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재난은 특정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접 도시, 더 나아가 국가 전체의 위기 관리 능력을 시험하는 계기이기 때문이다.
첫째, 지방의회가 적극적으로 나섰다는 점에서 ‘정치적 행위’가 아닌 ‘공공적 책임’의 차원을 보여줬다. 둘째, 성금 전달과 현장 참여를 병행하며 ‘형식적 구호’에서 벗어나 실질적 도움을 지향했다. 셋째, 재해 예방을 위한 제도적 보완을 예고한 것은 향후 지방자치 차원의 법·제도 개선 가능성을 열어둔 대목이다.
재난관리 전문가인 이은정 한국행정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번 의정부시의회의 대응은 긍정적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며 “그러나 일회성 지원을 넘어서, 인근 지자체 간 재난 대응 협약 체계를 공식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폭우·폭염 같은 기후 재난은 점점 빈번해지고 있다. 지방정부가 서로 인적·물적 자원을 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가평에서 복구 작업을 돕던 의정부시의회 한 의원은 “주민들이 ‘감사하다’는 말을 할 때마다 오히려 저희가 더 큰 힘을 얻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현장의 사정은 여전히 녹록지 않다. 일부 마을은 아직도 도로와 상하수도 시설이 온전히 복구되지 않아, 생활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재난 이후의 지원은 단순한 물자 전달을 넘어, 이재민들의 심리적 회복과 지속 가능한 생활 지원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이번 가평 수해 복구 지원은 ‘의정부시의회’라는 지방의회가 어떤 방식으로 지역 간 상생과 연대를 보여줄 수 있는지 확인시켜 준 사례다. 단순한 정치적 이벤트가 아니라, 지방정부가 주민 곁에서 직접 땀 흘릴 수 있음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앞으로도 지방의회와 지자체가 협력해 ‘재난에 강한 지역 사회’를 만드는 제도적·현장적 노력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코노미세계 / 김나경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