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명근 시장 “반드시 완공까지 책임지겠다”

[이코노미세계] 정명근 화성시장이 동탄2신도시 내 대학병원 유치 사업의 첫 공모가 유찰된 데 대해 “많은 시민 여러분이 우려하고 계실 것”이라며 “반드시 다시 추진해내겠다”고 의지를 밝혔다. 1일 정 시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같은 입장을 밝히며, LH와의 논의 과정을 공개해 향후 재공모 가능성에 대한 기대를 높였다.
이날 정 시장은 동탄출장소에서 박동선 한국토지주택공사(LH) 국토도시개발본부장 등 관계자들과 만나 대학병원 유치 필요성과 향후 일정 등을 놓고 면밀한 논의를 진행했다. 정 시장은 “화성특례시에 대학병원은 단순한 의료시설을 넘어 시민의 생명과 직결된 필수 공공 인프라”라며 “이번 유찰을 끝이 아닌 새로운 시작으로 삼아 시민들께 약속드린 유치 공약을 반드시 완수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화성시는 올해 동탄2신도시 자족시설용지 내 부지에 종합병원급 대학병원을 유치하고자 했으나, 의료계의 참여 저조로 인해 사업이 유찰됐다. 전문가들은 높은 부지 비용, 의료인력 수급의 불확실성, 수도권 병상 수급 규제 등을 이유로 들며 사업의 현실적 제약을 지적한다. 이에 따라 시는 LH와 함께 유치 조건의 재정비, 인센티브 강화, 규제 개선 요청 등을 포함한 재공모 방향을 모색 중이다.
정 시장은 대학병원 유치를 민선 8기의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다. 특히 “105만 명에 달하는 화성시민이 거주하는 지역에 응급의료, 중증치료가 가능한 상급의료기관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현재 화성시는 시립병원조차 없어, 심혈관, 뇌혈관 등 골든타임 내 치료가 필요한 중증환자들의 이송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정 시장은 “이번 유찰을 전화위복의 기회로 삼아 의료계와의 접점을 넓히고,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규제 개선을 촉진하겠다”며 “병원 유치에서 그치지 않고 설계, 착공, 개원까지 시가 전폭적으로 나서겠다”고 밝혔다.
의료정책 전문가인 김상호 서울의료정책연구소장은 “화성처럼 인구가 급증한 대도시에서는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의 유치는 단순한 공약이 아니라 지역 생존의 문제”라며 “공공기관(LH)과 지자체, 의료계가 함께 리스크를 분담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를 보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동탄2신도시 주민 최윤정 씨(41)는 “아이가 열이 나도 차로 30~40분 거리의 병원을 가야 하는 현실이 안타깝다”며 “대학병원이 생기면 단지 응급실뿐 아니라 지역 내 전문의 진료 접근성도 높아져 큰 변화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정 시장은 재공모 추진과 병행해 국회와 보건복지부를 상대로 한 제도 개선 협의도 준비 중이다. 특히 공공의료기관 설립 시 부지 제공, 세제 혜택, 의료인력 인센티브 지원 등의 실효적 정책이 마련돼야만 실질적인 유치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정명근 시장의 ‘유치 집념’이 과연 실현될 수 있을지, 105만 시민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