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남양주시의회 조성대 의장. | 
|  | 
| ▲ 경기동부권 시·군의장협의회 회장(왼쪽 다섯번 째, 조성대 남양주시의회 의장) | 
[이코노미세계] 경기동부권 시·군의장협의회가 지역 현안 해결과 공동 대응 강화를 위한 정례회의를 열고, 상수원 규제 대응과 인구 문제 극복을 위한 방안을 본격 논의했다.
협의회는 지난 9일 여주시 썬밸리호텔 에메랄드룸에서 제133차 정례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조성대 남양주시의회 의장을 비롯해 광주, 하남, 이천, 여주시의회 의장들이 참석해 지역의 주요 현안을 논의했다.
회의에서는 제132차 정례회의 결과 보고와 함께 △미혼 직원 만남의 장 프로그램 제안 △상수원관리구역 피해대응협의체 운영 규정 제정 등 총 5건의 안건이 상정되어 심도 있게 처리됐다.
- 저출산 대응 ‘미혼 직원 교류 프로그램’ 제안 -
특히 이날 회의에서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으로 ‘경기동부권 시·군의회 소속 미혼 직원 만남의 장 프로그램’이 제안돼 주목을 끌었다. 참석 의장들은 해당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추진 방향과 세부 계획 마련에 뜻을 모았다.
조성대 협의회장은 “공공부문부터 저출산 문제에 대한 실질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며 “지자체 간 협업을 통해 건강한 만남의 장을 조성하고 지역사회의 활력을 높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 상수원 규제 대응 ‘피해대응협의체’ 본격 가동 -
또한, 지난 132차 회의에서 발족된 ‘경기동부권 상수원관리구역 피해대응협의체’가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 이번 회의에서는 협의체 운영을 위한 세부 규정을 마련하고, 위원장과 부위원장 선출 등 조직 운영의 기반을 다졌다.
조 회장은 “팔당호 인근 시·군 주민들이 다중 규제로 재산권 침해를 받고 있음에도 정부의 주민지원사업비가 대폭 삭감된 현실은 심각하다”며 “규제 합리화와 주민 피해 보상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팔당호 상수원관리구역에 포함된 시·군들은 지난 2014년 이후 약 680억 원 규모의 주민지원금을 받아왔으나, 올해는 9%에 해당하는 약 73억 원이 삭감돼 지역사회 반발이 거세지고 있다.
- 지역 현안 해결 위해 협력 지속키로 -
조성대 의장은 여주시에서 열린 도자기축제와 남한강 출렁다리 개통을 축하하면서도 “남한강을 따라 중첩규제로 고통받아온 주민들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며 규제 개혁의 시급성을 역설했다.
협의회는 이날 회의에서 차기 정례회의 일정도 확정했다. 제134차 정례회의는 서면회의로 대체하고, 제135차 회의는 오는 9월 중 광주시의회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조 회장은 “이번 정례회의를 통해 협의체의 실질적 기능과 영향력을 높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경기동부권이 연대해 주민 권익 보호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