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구리시의회 신동화 의장(가운데). [사진=신동화 페이스북 캡쳐] |
[이코노미세계] 구리시의회 신동화 의장이 27일, 구리시민에게 배포된 구리소식지 4월호에서 의회 소식란이 통째로 삭제된 사실을 확인하고 강력히 반발했다. 이와 관련 신 의장이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이 사안을 공개하며 "믿기지 않는다. 참담하다. 분노한다"고 심정을 토로했다.
신 의장은 이번 사건을 "시의회에 대한 폭거이자 시민의 알 권리를 심각하게 침해한 행위"라고 규정하며, 백경현 구리시장에게 공개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강력히 촉구했다.
- 공공 소식지의 역할과 문제의 본질 -
구리소식지는 시민의 세금으로 제작되는 공공매체로, '구리시 시정소식지 발행에 관한 조례'에 따라 시민들에게 시정 정보와 의회 의정활동을 투명하게 전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신 의장은 "이번 조치는 공공 소식지의 본래 취지를 훼손한 것"이라며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백 시장이 사전 협의 없이 일방적으로 의회 소식란을 삭제한 점에 대해 "만행"이라고 비판했다.
- 백경현 시장의 입장과 향후 대응 -
현재 백경현 시장은 해당 논란에 대해 별다른 입장을 밝히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신동화 의장의 강력한 항의와 시민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어, 구리시청 측의 공식적인 해명과 대응이 요구된다. 신 의장은 "이번 사건은 단순한 실수가 아닌 고의적 행위로 보인다"며, 이를 바로잡기 위한 법적·행정적 조치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 시민 사회와 언론의 역할 -
이번 사건은 공공 정보 전달 매체의 독립성과 투명성 문제를 다시금 환기시키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공 소식지가 특정 기관이나 개인의 입맛에 맞게 편집되거나 삭제되는 것은 민주주의 원칙에 어긋난다"고 지적하며, 시민 사회와 언론이 이러한 문제를 감시하고 견제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끝으로 신동화 의장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구리시민들과 함께 공공 소식지 운영 방식 개선을 위한 논의를 시작할 계획이다. 그리고 "구리시는 시민들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모든 정보는 투명하게 제공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시민 알 권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번 논란은 단순히 한 지역 내 갈등으로 끝나지 않고, 공공 매체 운영의 근본적인 문제를 재조명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백경현 시장과 구리시청 측이 어떤 입장을 밝힐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