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구리시의회 신동화 의장. [사진=신동화 페이스북 캡쳐] |
[이코노미세계] 경기도가 GH공사(경기주택도시공사)의 구리 이전 계획을 전면 중단한다고 발표하면서, 구리시와 시민들 사이에 큰 논란이 일고 있다.
신동화 구리시의장은 21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참으로 당혹스럽고 허탈한 심정"이라며 이번 결정에 대한 강한 유감을 표명했다.
- 5년간의 노력, 물거품 위기 -
구리시는 지난 5년간 GH공사 이전을 위해 헌신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2021년에는 10개 시·군과의 치열한 경쟁 끝에 GH공사 유치를 확정지으며 지역 경제 활성화와 도시 발전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이번 경기도의 발표로 이러한 노력은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위기에 처했다.
GH공사는 연매출 1조 6천억 원, 연간 예산 4조 6천억 원에 달하는 경기도 최대 공기업이다. 정규직 직원만 약 700명이며, 매년 1만 명 이상의 고객이 방문하는 등 지역 경제에 미칠 긍정적인 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됐다. 특히, 구리시는 GH공사 이전으로 백억 원 이상의 지방세 증대 효과를 기대해왔다.
신 의장은 "GH공사 이전은 시민 모두의 염원이 담긴 사업"이라며 "이번 결정이 번복되지 않도록 시민 여러분의 큰 관심과 참여를 간곡히 호소한다"고 밝혔다.
- 서울 편입 추진과의 갈등 -
경기도는 이번 결정의 배경으로 구리시가 추진 중인 서울 편입 문제를 언급했다. 경기도 측은 "구리시가 서울 편입과 GH공사 이전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구리시가 서울시에 편입될 경우,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공사가 구리시에 갈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신 의장은 "서울 편입과 GH공사 이전은 양립할 수 없는 이율배반적인 졸속 행정"이라며 구리시 행정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더불어민주당 소속 시의원들과 함께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지적해왔음을 강조하며, 이번 사태가 예견된 결과였다고 주장했다.
- 시민들의 반응과 향후 과제 -
19만 구리시민들은 이번 사태에 대해 큰 충격을 받은 모습이다. 일부 시민들은 서울 편입 추진이 지역 발전에 어떤 실질적 이점을 가져올지 불확실하다며 우려를 표하고 있다. 반면, 일부는 경기도와의 관계 악화로 인해 중요한 사업들이 차질을 빚는 상황을 지적하며 시 행정의 책임을 묻고 있다.
전문가들은 "서울 편입 추진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중히 검토해야 할 사안"이라며 "GH공사 이전과 같은 단기적이고 실질적인 경제 효과를 포기하면서까지 추진할 가치가 있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 구리시의회 전경. [사진=구리시의회 홈페이지 캡쳐] |
- 시민 참여와 합리적 대안 필요 -
신동화 의장은 "GH공사 이전은 단순히 하나의 공기업 유치 문제가 아니라, 구리시 미래 발전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이번 결정이 번복될 수 있도록 시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필요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구리시는 앞으로 경기도와 협의를 통해 GH공사 이전 문제를 다시 논의할 계획이다. 동시에 서울 편입 추진과 관련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보다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