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 5개 특례시장 전곡항 집결…정 시장, 협의회 대표회장으로 선출

[이코노미세계] 화성시가 '특례시'로서의 위상 강화를 위한 첫걸음을 힘차게 내디뎠다. 12일 서해안의 명소 전곡항에서 열린 ‘2025년 제1차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가 그것이다. 정명근 화성시장은 이날 회의 개최 사실을 직접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개하며 “특례시의 권한 확대와 제도 개선을 위한 소중한 계기였다”고 평가했다.
이번 협의회는 화성시 출범 이후 시에서 처음 열린 특례시 간 공동 회의로, 전국 5개 특례시(수원·용인·고양·창원·화성)의 시장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특히 이번 회의에서는 정명근 화성시장이 협의회 대표회장으로 공식 선출돼, 향후 특례시 정책의 조율과 대정부 협상에서 중심적 역할을 맡게 된다.
정 시장은 “정조대왕의 효심이 깃든 융건릉부터 젊은 활력의 상징 동탄신도시까지 화성의 다양한 얼굴을 소개하고자 고민했지만, 결국 낙조가 아름다운 전곡항에서 회의를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화성시는 인구 105만 명을 돌파한 대도시임에도 불구하고 기초자치단체의 권한에 묶여 각종 행정 서비스에서 한계에 부딪혀왔다. 이에 따라 정 시장은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의 행정 서비스 제공을 위해선 ‘특례시 지원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이 시급하다”며 “화성시민 모두가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시장이 강조한 ‘특례시 지원 특별법’은 특례시가 기존 시 단위를 넘어서는 행정 수요를 제대로 감당할 수 있도록 법적·재정적 뒷받침을 마련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는 복잡한 도시 인프라와 행정 수요에도 불구하고 시 단위 예산과 조직 체계에 묶여 있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한 근본 대책으로 평가된다.

시민들도 이에 공감을 표했다. 전곡항에서 만난 시민 김성희(48·화성시 향남읍) 씨는 “정 시장이 협의회 대표로 뽑혔다는 소식을 듣고 자부심을 느꼈다”며 “화성시가 더 이상 수도권의 변두리가 아니라 행정 중심지로 성장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특례시 권한 확대 방안 ▲공동현안 대응 전략 ▲행정안전부 및 중앙정부와의 소통 방안 등이 논의됐다. 협의회는 정기적인 회의를 통해 특례시 공동 목소리를 정리하고, 법제도 개선을 위한 정책 건의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정 시장은 회의 직후 SNS에 “이번 협의회는 시작일 뿐”이라며 “앞으로 특례시에 걸맞은 자율성과 책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시장님들과 함께 연대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대한민국특례시시장협의회는 특례시로 지정된 전국 5개 시가 공동으로 출범시킨 정책 협의 기구로, 정부 및 국회와의 제도 개선 협의를 주도하고 있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