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세계] 화성특례시가 ‘2025 제8회 청년친화헌정대상’에서 경기지역 기초자치단체 부문 종합대상을 수상했다. 지난 2023년 소통대상에 이어 2년 만에 다시 한 번 청년정책 우수성을 인정받은 것이다.
이 상은 국회사무처 소관 사단법인 청년과 미래가 주관해, 청년 친화적 환경 조성에 기여한 기관을 평가·표창하는 제도다. 청년 참여기구 운영, 지원사업 추진, 행사 개최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살펴 ‘청년친화지수’를 산출해 수상 기관을 결정한다.
화성특례시는 전국에서 손꼽히는 청년정책 실험 도시다. △청년취업끝까지 지원센터는 경기도 최초의 취업전문 지원기관으로, 맞춤형 상담·교육·취업연계를 통해 지역 청년의 안정적 자립을 돕고 있다. △연지곤지 통장은 전국 최초의 저출생 대응 정책으로, 결혼·출산을 준비하는 청년 세대에 실질적 금융 지원을 제공한다. △청년정책협의체는 청년 스스로 정책을 제안하고 실행 과정에 참여하는 구조를 마련해, 행정의 ‘청년 들러리화’를 방지한다.
이 같은 정책은 ‘살고 싶고,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들겠다는 목표 아래 추진돼, 외부 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화성특례시는 평균연령 39세의 젊은 도시”라며 “특례시를 이끌 주역인 청년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활동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청년정책은 단순한 복지가 아니라 지역의 미래를 설계하는 일”이라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청년 친화적 환경을 계속 확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청년정책 전문가인 김은정 한국청년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화성시 사례는 고용·주거·출산 문제를 종합적으로 접근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도 “지방재정과 중앙정부 지원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장기적 지속가능성이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청년정책은 단기간 성과보다 꾸준한 제도화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화성시에 거주하는 20대 직장인 박모 씨는 “청년취업지원센터에서 이력서 컨설팅을 받고 실제 취업에 도움이 됐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대학생 김모 씨는 “청년정책이 많다고는 하지만 홍보가 부족해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며 “체감도를 높이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청년친화헌정대상 수상은 화성시의 성과를 보여주는 상징적 성취지만, 동시에 더 큰 책임을 요구한다. 청년 인구 유출 방지, 주거 부담 완화, 안정적 일자리 창출 등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가 산적하다. 특히 지방 청년정책의 지속성과 재정 안정성 확보는 향후 가장 큰 도전 과제가 될 전망이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