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후위기 해법 찾는 세대 간 대화도 이끌어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돌봄’과 ‘기후’라는 두 가지 국가적 의제를 동시에 안고, 정치·사회적 파급력이 큰 두 개의 행사에 잇달아 모습을 드러냈다.
9월 2일 국회에서 ‘국가간병책임제’ 토론회를 주관한 데 이어, 같은 날 오후에는 경기도가 주최하는 ‘청정대기 국제포럼’의 개막을 지휘했다. 복지와 환경, 현재와 미래 세대를 아우르는 이중 과제가 김 지사의 정치적 메시지이자 향후 행보의 방향타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국가간병책임제’ 토론회는 경기도가 광역지자체 최초로 추진한 ‘간병 SOS 프로젝트’를 토대로 마련됐다. 김 지사는 “보이지 않는 손이 아닌 국가의 따뜻한 손이 국민을 보듬어야 한다”며 제도의 전국화를 강조했다.
경기도의 간병 SOS 프로젝트는 저소득·무연고 환자를 대상으로 간병 서비스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도입 후 환자·가족의 부담을 줄였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전문가들은 이 제도가 전국적으로 확산되면 사회적 비용 절감과 돌봄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보건의료정책 전문가인 서울대 이재훈 교수는 “고령화 사회에서 간병 문제는 더 이상 가정의 책임으로만 남겨둘 수 없다”며 “지방정부 모델을 국가 차원에서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오후에는 올해로 7회째를 맞은 ‘청정대기 국제포럼’이 열렸다. 개막 대담에는 청소년기후행동의 김서경 활동가와 생태학자 최재천 교수가 참여해 기성세대와 미래세대가 기후위기 해법을 놓고 머리를 맞댔다.
김 활동가는 “청소년은 단순한 수혜자가 아니라 동등한 당사자”라며 “정책 결정 과정에서 함께 고민해달라”고 요구했다. 이에 김 지사는 “청소년 세대의 목소리를 깊이 새기고 실천으로 옮기겠다”고 화답했다.
국제포럼에서는 대기오염 저감, 기후소송의 의미, 재생에너지 전환 전략 등이 논의됐다. 전문가들은 경기도의 역할을 “수도권의 대기질 개선을 넘어 국가 기후정책의 실험실”로 평가했다.
정치권은 이날 행보를 두고 김 지사가 복지와 기후, 두 가지 키워드를 동시에 강조하며 전국적 리더십을 구축하려는 의도로 해석한다.
경기도 관계자는 “지난 3년간 경기도는 간병 SOS와 기후대응 정책을 추진하며 전국적 주목을 받아왔다”며 “이제 중앙정부와의 협력을 통해 더 큰 틀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평론가 박상철 교수는 “간병과 기후는 국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의제”라며 “김 지사가 이를 정치적 브랜드로 삼는다면 차기 대선 구도에서도 주목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서울 관악구에 거주하는 70대 이모 씨는 “간병 때문에 집안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다”며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는 말에 공감한다”고 말했다. 반면 직장인 김민정(34) 씨는 “기후위기는 세대 간 갈등 요소이기도 하다”며 “정책 결정자들이 청소년의 목소리를 더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김동연 지사의 하루는 지방정부 차원의 실험이 어떻게 국가적 의제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줬다. 돌봄과 기후, 두 분야는 당장 체감 가능한 민생 현안이자 장기적 국가 비전이다. 김 지사가 강조한 “국가의 따뜻한 손”과 “세대 간 연대”라는 화두가 향후 정치 지형과 정책 논의에 어떤 파장을 불러올지 주목된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