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부처·지역사회·기업까지 아우르는 협력체계 강조
![]() |
▲ 임태희 경기도교육감(가운데). [사진= 임태희 페이스북 캡쳐] |
[이코노미세계]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경기미래교육청의 출범과 관련해 “아이들에 대한 교육은 곧 미래”라며 저출산 시대에 대응한 전방위적 협력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임 교육감은 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미래교육청이 출범한 이유는 명확하다”며 “아이들의 미래를 책임지는 것이 곧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출산율 저하와 인구 감소로 인한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려면 더 이상 교육청만의 과제가 아니다”라며 “온 마을을 넘어, 이제는 온 나라가 아이들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정부 모든 부처가 아이들과 연결돼야” -
임 교육감은 특히 중앙정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과 협력을 요청했다. “정부의 각 부처가 관심을 갖고 모든 인적·물적 자원이 아이들과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며 “교육은 단지 학교라는 울타리 안에 머물러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기미래교육청은 교육의 외연을 확장하고, 공동체가 함께 아이들을 키우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지방자치단체, 기업 등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미래교육, 게을리하지 않겠다” -
임 교육감은 미래교육청의 핵심 역할로 ‘지속 가능한 미래 준비’를 꼽았다.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일에는 잠시도 게을리하지 않겠다”며 “교육은 단기적 성과가 아닌 장기적인 안목과 헌신이 필요한 분야”라고 강조했다.
경기미래교육청은 2025년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예정이며, 미래형 학습 모델 개발, 지역별 맞춤 교육정책 실행, 청소년 진로·직업 역량 강화 등을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 교육의 사회적 책임 강조… ‘교육의 외부화’ 시도 -
전문가들은 이번 임 교육감의 발언을 “교육의 공공성을 넘은 사회적 책무 강조”라고 분석한다. 수도권 소재 교육행정학과의 한 교수는 “이제 교육은 교육청만의 책임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책무가 되어야 한다”며 “경기미래교육청의 출범은 그에 대한 실질적 첫걸음”이라고 평가했다.
- 향후 과제는?… 실질적 협력 시스템 구축 관건 -
다만 이러한 이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실질적인 제도적 장치와 예산 확보, 부처 간 협력 체계 마련 등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교육전문가는 “미래교육청의 취지는 매우 타당하나, 현실적 한계를 넘기 위해서는 정치적 의지와 구체적 실행 로드맵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도 교육과 연계될 수 있는 다양한 정부 부처 간의 협업 구조가 정착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경기도, 전국 교육개혁 이끌 시험대 될까 -
경기미래교육청은 명칭부터 운영 체계, 정책 방향에 이르기까지 기존 교육청의 틀을 탈피한 새로운 시도로 평가된다. 경기도교육청은 이를 통해 전국 교육개혁의 선도적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임 교육감은 “교육은 시대정신을 담는 그릇”이라며 “미래를 위한 교육, 아이들을 위한 국가적 투자에 사회 전체가 동참해 주길 바란다”고 글을 마무리했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