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김포시가 아동 안전을 지역문화의 핵심 가치로 끌어올렸다. 김포시의회가 최근 가결한 '아동보호구역 운영 조례'는 단순한 행정 조치가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함께 참여하는 ‘안전 문화 도시’ 프로젝트의 출발점이다. 범죄 예방을 넘어 시민이 체감하는 일상 속 안전 문화를 조성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김포는 아동 인구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도시다. 이는 아이들의 생활 안전이 곧 지역문화의 질을 결정짓는 핵심 과제임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아동 안전은 행정의 책무를 넘어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 가는 문화”라고 강조한다. 이번 조례는 아동보호구역을 제도적으로 확대·운영하면서도, 주민이 직접 감시·협력에 나서는 구조를 뒷받침한다.
조례에는 CCTV 설치와 관리, 실태조사 및 자료 공유, 협력체계 구축 등이 포함됐다. 그러나 단순한 장비 도입을 넘어 “지역 전체가 아동 지킴이가 된다”는 공동체적 의미가 더 크다. 학교, 학원가, 놀이시설뿐 아니라 골목길까지 아우르는 안전망은 곧 지역 문화의 신뢰 기반이 된다.
구래동 학부모 김 모 씨(42)는 “안전이 제도화되면 마음이 놓인다”면서도 “철저한 관리와 주민 참여가 병행돼야 진짜 효과가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시민 이 모 씨(36)는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도시라는 이미지는 장기적으로 김포의 문화적 매력으로 자리잡을 것”이라고 했다.
아동 안전 정책은 단순한 범죄 예방을 넘어 공동체 문화를 강화한다는 평가다. 사회학자 정 모 교수는 “안전 투자가 시민의 신뢰를 높이고, 지역 정체성을 ‘안심 공동체’로 만드는 효과가 있다”며 “이는 장기적으로 주민 만족도와 이주 선호도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한다”고 분석했다.
김포시의 아동보호구역 조례는 ‘안전’이라는 행정적 과제를 지역문화로 승화시키려는 시도다. 행정, 시민, 기관이 삼각축을 이루어 ‘아이들이 웃으며 자라는 도시’라는 김포의 새로운 정체성을 만들어갈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