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상권 회복 견인, 교육·농축수산·디저트 업종도 두각

[이코노미세계] 경기도가 지급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도민들의 일상 소비 패턴과 지역 경제 회복에 어떤 변화를 주고 있는지 첫 분석 결과가 나왔다. 경기지역화폐를 통해 지급된 소비쿠폰의 절반 이상이 이미 사용됐으며, 그중 음식점과 편의점·슈퍼마켓 등 소매점에서의 소비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8월 8일 오후 6시 기준, 경기도 내 소비쿠폰 신청자는 전체 지급 대상의 약 95.4%인 1,295만 명에 달했다. 지급 금액은 총 2조 819억 원. 경기도는 경기지역화폐 운영 대행사인 코나아이와 공동운영협약을 맺은 28개 시군 데이터를 분석해 소비 흐름을 파악했다.
분석 결과, 경기지역화폐로 지급된 소비쿠폰 4,754억 원 중 52.7%(2,503억 원)가 이미 사용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급 후 불과 며칠 만에 나타난 결과로, 과거 민생지원금보다 훨씬 빠른 소비 속도라는 게 경기도의 설명이다.
업종별 사용 현황을 보면, 전체 사용액 중 음식점 비중이 27.4%로 가장 높았다. 세부적으로는 △일반 한식이 591억 원(23.61%)으로 업종별 사용액 1위였으며, △중식 49억 원(1.94%), △일식 31억 원(1.27%) 순으로 뒤를 이었다.
수원시 팔달구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김모(53) 씨는 “소비쿠폰 덕분에 평일 점심 손님이 20~30% 늘었다”며 “물가가 올라 장사하기 힘든 시기에 숨통이 트였다”고 말했다.
음식점 다음으로 많이 사용된 곳은 편의점과 슈퍼마켓 등 일반 소매업(15.2%)이었다. 편의점 사용액은 203억 원(8.11%), 슈퍼마켓은 176억 원(7.05%)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 필수품을 소비쿠폰으로 결제하려는 경향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용인시 기흥구의 한 편의점 점주는 “쿠폰 사용 시작 이후 하루 매출이 15% 정도 늘었다”며 “간편식, 음료, 생필품 매출이 특히 많이 증가했다”고 말했다.
교육·학원 분야 사용 비중은 13.4%로 3위에 올랐다. 이어 정육점을 비롯한 농축수산물 업종이 9.2%, 커피·음료·제과 등 디저트 업종이 7%를 차지했다.
성남시 분당구에서 학원을 운영하는 박모(45) 씨는 “학원비 결제에 소비쿠폰을 사용하려는 학부모 문의가 많았다”며 “결국 교육비 부담 완화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훈 경기도 복지국장은 “도민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소비쿠폰 지급과 사용 속도가 예상을 뛰어넘고 있다”며 “정책 취지에 맞게 소상공인과 지역 상권 회복의 마중물이 될 수 있도록 남은 기간 신속한 사용을 독려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소비쿠폰의 효과가 단기적 매출 증대에 그치지 않도록, 장기적인 지역 소비 문화로 연결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경기연구원 관계자는 “소비쿠폰 사용이 특정 업종에 편중되지 않도록, 다양한 업종 참여와 소비 패턴 다변화 전략이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