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추경 지연 속 지자체가 먼저 움직여
- “도민 생각하면 두 시간 대기조차 힘들지 않았다”

[이코노미세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정부의 ‘슈퍼 추경’ 논의가 지지부진한 가운데,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자체 추경을 확정해 민생 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나섰다.
김 지사는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경기도가 먼저 나서 제출한 추경안이 오늘 도의회를 통과했다”며 “도탄에 빠진 민생을 위해 조속한 처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작년 말부터 중앙정부에 추경 편성을 수차례 촉구해 왔으나, “윤석열 정부는 미동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반면, 경기도는 지역화폐와 교통비 지원, 미래산업 투자, 사회간접자본(SOC) 확충 등 민생 경제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자체 추경을 신속히 추진했다는 입장이다.
경기도의 이번 추경은 단순한 ‘지출 확대’가 아니라, 현장 중심의 정책으로 구성됐다는 평가다. 특히 최근 고물가·고금리·고환율 등 삼중고에 시달리는 도민들의 생활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실질적 대책이 포함됐다. 김 지사는 “본회의장에 두 시간 이상 머물렀지만 도민들을 생각하니 조금도 힘들지 않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간의 정책 속도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정철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는 “경기도의 이번 추경은 선제적이며 실용적인 대응”이라며 “중앙정부와의 공조가 향후 시너지로 이어질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로 새 정부도 이번 주 국회에 추경안을 제출한 상태다. 김 지사는 “경기도 추경이 정부 추경과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며 정부와의 정책 연계를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경기도의 행보가 향후 중앙정부에 대한 견제 성격도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익명을 요청한 한 지방재정 전문가는 “경기도가 중앙정부보다 앞서 민생대책을 추진한 것은 정치적 메시지일 수 있다”고 해석했다.
그러나 도는 이번 추경의 본질을 “정치가 아닌 민생”이라고 강조한다. 도 관계자는 “경기도 추경은 정치적 경쟁이 아니라 실질적 민생 해결을 위한 조치”라며 “정부 추경과 보조를 맞춰 도민에게 최대의 혜택을 돌려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밝혔다.
경기도의 이번 조치는 중앙정부에 앞서 지방정부가 먼저 민생 회복의 마중물이 된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