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임창휘 의원. |
[이코노미세계]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임창휘 의원은 20일 본회의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물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경기도의 수자원 관리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통합 물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임 의원은 발언에서 "산업구조 변화와 기후변화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물 부족 등 물위기가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며, "하·폐수 처리수의 재이용 확대, 가뭄 및 강우 관리 시스템 구축 등을 통해 물순환 사회와 물안심 사회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세계적 흐름에 주목… 기후테크와 물산업 지원 필요성 제기
임창휘 의원은 발언 중 세계 주요 국가들이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기후테크(Climate Tech)'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며, "2032년이 되면 기후테크 시장 규모는 약 1,480억 달러(한화 약 200조 원)로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을 소개했다. 그는 "경기도가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기후테크와 물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투자가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특히 그는 "물위기를 극복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기존의 수질보전 중심의 물관리 체계를 넘어선 수자원 통합관리로의 전환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경기도가 국내외적으로 경쟁력 있는 물산업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 수량·수질 관리 체계 이원화 문제 지적
임 의원은 현재 경기도 내에서 수량관리는 건설국 하천과, 수질관리는 수자원본부로 이원화되어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며,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해 이 두 부서를 통합해 일원화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30년 동안 유지되어 온 기존의 수질보전 중심 관리 방식으로는 더 이상 변화하는 환경과 위기에 대응할 수 없다"며, "통합된 체계 아래에서 수량과 수질을 아우르는 종합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물순환 사회로의 전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첫걸음
임창휘 의원은 이번 발언을 통해 경기도가 물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그는 "물순환 사회로의 전환은 단순히 환경 보호를 넘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필수 과제"라며, "경기도가 앞장서서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발언은 기후변화와 산업구조 변화 속에서 경기도가 직면한 물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앞으로 경기도가 어떤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 실행에 옮길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