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태희 경기도교육감. [사진=임태희 페이스북 캡쳐] |
[이코노미세계] 제주의 한 중학교에서 교사가 민원에 시달리다 극단적인 선택을 한 사건이 발생하면서 교육 현장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이에 임태희 경기도교육감이 2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고인을 애도하며, 현장 교사들에게 위로와 연대의 메시지를 전했다.
임 교육감은 해당 글에서 “민원에 시달리던 선생님이 또다시 안타까운 선택을 하셨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학생 지도를 포기하지 않으셨지만, 결국 한 달 넘게 이어진 민원 제기에 힘들어하셨고, 극단적인 선택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이어 “선생님을 생각하면 가슴이 먹먹하다”며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과 동료 선생님들, 그리고 학생들에게 깊은 위로의 마음을 전한다”고 덧붙였다.
임 교육감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교육 현장에 뿌리내린 교권 침해 문제의 심각성을 다시금 강조하며, 교육의 3당사자인 학생·학부모·교사 간의 존중과 존경의 문화가 반드시 회복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 “교육 현장은 교육 3당사자 간의 상호 존중과 존경 위에서만 지탱될 수 있다”며 “이 기본이 흔들릴 때 교육의 가치도 함께 무너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임 교육감은 “이번 일을 접하면서 큰 마음의 상처를 받으셨을 현장의 선생님들께 다시 한 번 간곡히 말씀드리고 싶다”며 “경기도교육청은 늘 선생님들과 함께 하고 있음을 기억해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또한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 혼자 감당하지 마시고, 무거운 짐을 함께 나누며 이겨나가 주시기를 간절히 부탁드린다”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교육청 차원에서 교사들의 정서적 회복과 교권 보호를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이겠다는 입장도 함께 내비쳤다.
이번 제주 사건은 지난해와 올해 연이어 발생한 교권 침해로 인한 교사 사망 사례와 맞물려, 교육계 전반의 구조적 문제를 다시 수면 위로 끌어올리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과 교사 단체들은 이번 사건에 대해 “더는 죽지 않아도 될 교사가 희생되는 일이 없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경기도교육청은 최근 '교권보호 종합대책'을 수립하며 교사 대상 심리상담 확대, 법률지원 강화, 악성 민원 차단 체계 구축 등을 추진하고 있다. 임 교육감은 “무너진 교권을 회복하고, 선생님들이 안심하고 교육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이제는 사회 전체가 교사의 고통에 귀 기울여야 할 때”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 교권 회복을 위한 교육당국과 정치권의 실질적 대책이 요구되는 가운데, 교사들의 목소리를 담은 현장 중심의 정책 변화가 절실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