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세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최근 다이빙 주한 중국대사를 만나 한중관계의 회복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김 지사는 “새 정부 출범 이후 한중관계의 새로운 전기가 마련되고 있다”며 “경제 협력과 생산적 경쟁을 통해 위기를 극복하자는데 대사와 뜻을 모았다”고 밝혔다.
김 지사는 21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이 같은 회동 소식을 전하며, 올가을 미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참여 가능성을 언급했다. 그리고 “APEC을 계기로 한중관계 복원의 큰 모멘텀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지사는 “양국이 경제 협력과 생산적 경쟁을 병행해야 한다”며,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국제경제 환경 속에서도 한국과 중국이 상호 보완적 관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인식을 공유했다고 전했다.
경기도 역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내달 중국 충칭(重慶), 상하이(上海), 장쑤성(江蘇省) 등을 방문할 예정이다. 김 지사는 “지방정부 차원의 교류가 양국 관계 복원에 힘을 보탤 수 있다”며 “경기도가 중국과의 우호 협력 강화에 적극 나서겠다”고 했다.
이번 방문에서는 산업·경제 교류뿐 아니라 문화·교육 분야 협력 확대도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첨단 제조업, 친환경 산업, 스타트업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 지방정부와 협력 방안을 구체화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지방정부 차원의 활발한 교류가 한중관계의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성균관대 국제학과 A 교수는 “중앙정부 차원의 외교가 정치·안보 이슈로 경색될 때, 지방정부 외교는 경제와 생활 분야 협력을 통해 신뢰를 쌓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경기도는 국내 최대 산업·경제 거점 중 하나로, 중국과의 협력이 국내 전체 교역 구조에도 파급 효과를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한중관계는 최근 몇 년간 사드(THAAD) 배치 문제와 미·중 전략 경쟁 심화 등으로 경색 국면을 겪었다. 그러나 양국 모두 경제적 상호 의존도가 높아, 관계 복원의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제기돼왔다.
김 지사의 이번 행보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한중관계 정상화를 모색하는 움직임으로, 향후 양국 외교·경제 협력의 가늠자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경기도민들 역시 김 지사의 이번 중국 방문에 기대를 걸고 있다. 수원에 거주하는 50대 주민은 “중국은 경기도 기업들의 중요한 교역 상대국인 만큼, 이번 방문이 기업들에게 실질적인 기회를 제공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반면 일부 시민은 “중국과의 교류 강화가 필요하지만, 국제정세의 불확실성이 큰 만큼 신중히 접근해야 한다”는 우려를 내놓기도 했다.
김동연 지사의 이번 행보는 중앙정부 외교와는 또 다른 차원에서 한중관계 회복을 위한 물꼬를 트는 시도로 평가된다. 국제경제질서가 급변하는 가운데, 경기도의 지방정부 외교가 한중관계 복원과 협력 확대에 어떤 성과를 가져올지 주목된다.
이코노미세계 / 오정희 기자 oknajang@hanmail.net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