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코노미세계] 경기도가 해외에 거주하는 동포들에게 평생교육의 문을 넓히고, 도내 공공시설 이용료 감면을 제도화하는 길을 열었다. 단순한 행정 차원을 넘어 경제적 비용 절감과 지역 교육·문화 인프라 활용 극대화, 그리고 민족 정체성 강화라는 사회적 가치를 동시에 겨냥한 전략으로 평가된다.
9월 11일 열린 경기도의회 제386회 임시회 여성가족평생교육위원회 제3차 상임위원회에서 이인애 의원이 대표 발의한 '경기도 평생교육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안'과 '경기도미래세대재단 설립 및 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이 통과됐다..
개정안은 ▲재외동포 평생교육 지원 ▲도내 공공 연수시설·캠핑장·경기미래교육캠퍼스 등의 이용료 30% 감경 또는 감면 근거 마련을 핵심으로 한다. 경기도는 이를 통해 해외 동포의 모국 방문 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도민과의 교류를 촉진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도 관계자에 따르면, 연간 약 5만여 명의 재외동포 방문객이 경기도 내 주요 교육·문화 시설을 찾고 있다. 이번 조례안으로 이용료 감면 효과는 연간 수십억 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이는 단순히 재외동포 개인의 비용 절감에 그치지 않고, 체류 기간 동안 소비 확대와 지역 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지역 상권도 긍정적 반응을 보이고 있다. 고양시 일산서구의 한 숙박업체 대표는 “교육 시설이나 연수 프로그램을 위해 방문한 동포들이 숙박·식음료·교통까지 소비를 확대한다”며 “이번 제도화가 지역 관광·서비스업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번 조례안은 경제적 효과를 넘어 민족적 정체성 강화라는 교육적 가치에도 방점이 찍혀 있다. 재외동포 청소년들은 경기미래교육캠퍼스, 역사·문화 체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국내 청소년과 자연스러운 교류를 경험할 수 있다.
이인애 의원은 “재외동포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직접 배우고, 또래들과 교류하며 민족적 정체성을 자연스럽게 함양할 수 있다”며 “이는 경기도가 글로벌 평생교육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육정책 전문가인 박성훈 경기대 교수는 “지방정부가 평생교육과 재외동포 정책을 연결한 것은 국내 처음 시도된 모델”이라며 “경제적 비용-편익 측면에서도 연간 수십억 원의 감면 혜택이 도민과 동포 모두에게 돌아가고, 지역경제 파급 효과가 클 것”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경기도가 글로벌 교육·문화 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 조례안”이라고 평가했다.
경기도는 이번 조례안 통과를 통해 지역 차원을 넘어 글로벌 공동체와의 연결 고리를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경제적 지원, 평생교육 기회, 정체성 강화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는 이번 행보가 성공적으로 안착할 경우, 경기도는 “세계 속의 교육·문화 허브”라는 새로운 위상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코노미세계 / 이해창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