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망자 23분 가족 3개월분 550만원, 중상자 2분 2개월분 367만원, 경상자 6분 1개월분 183만원.
- 도, 회사측 책임여부 따라 구상권 적극적 청구.
- 리튬 제조 공정 이루어진곳 48곳 점검, 7월 2일까지 31곳 점검 결과,
- 위험물 취급 위반 5건, 유해화학물질 취급 위반 4건. 총 9건의 위반
- 이 중 6건 검찰 송치할 예정, 3건은 과태료 처분 조치,
- 소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3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코노미세계]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3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화성 화재사고 관련 경기도의 그동안 과정과 앞으로 대책을 발표했다.
브리핑에 앞서 김 지사는 이번 화성 화재사고 희생자와 유가족들게 1,400만 도민의 마음을 모아 다시 한번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하고, 사고의 수습과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경기도가 추진하고자 하는 계획에 대해 말씀드린다며 말문을 열었다.
이번 사고 피해자 대부분이 일용직, 이주노동자 신분으로 당장 생계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례적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재난안전대책본부의 심의와 의결, 시민사회 전문가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긴급생계안정비 지원을 결정했다. 긴급생계안정비는 예비비를 통해 바로 내일부터 지원될 수 있도록 한다고 한다.
긴급생계안정비는 사망자 23분의 가족에게는 3개월분 550만 원, 중상자 2분께는 2개월분 367만 원, 경상자 6분께는 1개월분 183만 원을 긴급 지원한다.
경기도는 이번에 지원하는 긴급생계안정비를 포함해서 유족들에 대한 항공료, 체재비 등 각종 지원 비용에 대해 회사 측의 책임여부에 따라 구상권을 적극적으로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도는 이번 화재사고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고자 사고의 원인, 초기 대처, 행동 요령, 사고 후 대처, 신원 확인까지, 전 과정을 투명하게 밝히고 기록하겠으며, 또 산업 안전과 이주노동자 문제에 대한 새로운 기준이 될 백서를 만들어 재난 예방과 대응의 ‘종합보고서’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앞서 경기도는 현재 리튬 제조·공정이 이루어지는 48곳을 집중 점검하고 어제(7.2.)까지 31곳을 점검한 결과, 위험물 취급 위반 5건, 유해화학물질 취급 위반 4건 등 총 9건의 위반 사항이 확인됐다. 이 중 6건은 검찰에 송치할 예정이며, 3건은 과태료 처분 조치했다. 또한, 소방·위험물 관리 위반 12건에 대해서는 시정 명령을 내렸다.
또한 화재 사고와 관련해 오염수 유출과 대기오염 모니터링 결과는 현장에서 인근 바다까지 이르는 3개 지점에서 중금속, 생태독성 등 30개 항목을 검사한 결과, 수질오염 배출 기준과 사람의 건강보호 기준 초과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아울러 사고 이후, 일주일 동안 계속된 대기질 측정에서도 유해물질 검출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그리고 현재까지 유가족 437분께 숙박시설 227실을 제공(누적)했고, 산재보험 신청 6건, 법률상담 21건 등을 포함하여 피해자와 유가족의 요청 사항 120건을 지원했다.
또한 경기도는 생존자와 유가족, 소방대원들의 심리치료도 지원하고 있다. 그리고 부상자와 회사 직원 등 피해자 55건, 유가족 38건, 지역주민 2건 등 총 96건의 상담을 진행했다. 이후에도 경기도는 지속적으로 사후 관리를 하겠다고 밝혔다.
끝으로 김동연 지사는 두 가지에 집중하겠다며, 먼저. 이번 사고의 수습에 끝까지 최선을 다하고, 사고의 전 과정에 걸쳐서 부족했던 점, 미흡했던 점을 전부 찾아내서 백서로 만들고 앞으로의 재난 예방과 대처의 교본으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어 입법과 규제에서도 여러 가지 미흡한 점이 드러났다. 드러난 제도의 허점과 운영의 문제를 찾아내 정부에는 제도 개선을, 국회에는 입법 요청을 통해 경기도가 가장 적극적으로 나서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시는 이러한 참사가 발생하지 않는 안전한 경기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