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세계보건기구는 23일 대한민국을 'WHO 글로벌 바이오 인력양성 허브'로 선정하였다고 발표했다.
WHO 인력양성 허브는 중․저소득국의 백신 자급화를 위해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 교육훈련을 제공하는 중심 기관이다.
WHO는 코로나19 세계 대유행(팬데믹) 이후 국가 간 백신 불평등 문제에 대해 중․저소득국의 바이오의약품 제조역량 구축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이들 국가의 백신 자급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바이오의약품 생산인력을 교육․훈련하는 ‘WHO 인력양성 허브’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WHO는 한국을 인력양성 허브로 선정한 이유는 국내기업의 백신․바이오 생산능력, 교육시설 인프라 및 한국 정부의 적극적 의지 등을 주요 이유로 꼽았다.
현재 한국의 바이오 기업들은 연간 60만 리터 이상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역량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2위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한국은 5종의 코로나 백신 위탁 생산 경험이 있고, 올 상반기 출시를 목표로 국산 코로나 백신 개발(임상3상 진행 중)도 진행 중이다.
나아가, 교육시설 인프라로 국내 바이오 생산공정 공공 실습장을 확충하고(WHO 인력양성 허브 일부 활용 예정), 향후 글로벌 인력양성 전담 훈련시설도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국내 인력대상 바이오 제조공정분야 교육을 위해 공공자금으로 설립한 교육장(현재 2개소) 송도 한국형 NIBRT 교육장, 오송 K-Bio 교육장(추가 2개소) 안동 동물세포 실증센터 교육장(’23), 화순 의약품 품질관리 교육장(’23) 등 글로벌 바이오 캠퍼스 타당성 연구용역을 추진 중이다.
더불어, 한국은 이번 WHO 인력양성 허브 신청을 위해 정부 주도로 국내외 기업, 대학, 국제기구, 해외기관 등과 포괄적인 민관파트너십을 구성했다.
현재 WHO 인력양성 허브 민·관파트너십 참여기관은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GC녹십자, 한미약품, 싸이티바, 싸토리우스, 국제백신연구소, 라이트펀드(RIGHT FUND),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국립중앙의료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코트라,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 식품의약품안전처, 산업통상자원부, 특허청, IDB(미주개발은행), PAVM(아프리카백신생산연합), 남아공 Biovac社 등이다.
이번 한국의 WHO 인력양성 허브 선정은 작년 5월 한․미정상회담 이후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된 '글로벌 백신 허브화' 정책과 국회․정부간 긴밀한 협력하에 이뤄낸 성과이다.
한국정부는 글로벌 바이오 인력 370명에 대한 백신․바이오인력 양성 교육에 대한 준비를 마쳤으며, 올해 7월부터 실시할 예정이다.
310명은 백신․바이오의약품 개발․생산 기본 이론교육(2주 100명)과 글로벌 의약품 품질관리 기준 기본교육(3주 210명)을 받을 예정이며, 60명은 아시아개발은행(ADB)과 공동으로 아태 개도국 백신생산을 인력 대상으로 바이오생산공정 실습교육을 개발 및 제공하고, 교육비용은 ADB가 부담 할 예정이다.
이번 한국의 WHO 인력양성 허브 선정은 ‘원조받는 국가’에서 ‘원조하는 국가’로 전환된 유일한 국가로서, 한국의 바이오 분야 성장 경험을 세계 여러 나라와 나누는 계기가 될 것이로 본다.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