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바이오·미디어 산업 유치로 양질의 일자리, 삶의 질 향상 기대
![]() |
▲ 의정부시청 전경. |
[이코노미세계] "의정부가 수도권 규제와 군사 규제의 굴레를 벗고, 첨단산업 중심의 미래 도시로 탈바꿈합니다."
김동근 의정부시장이 30일 자신의 SNS에 올린 경제자유구역 추진 배경 설명에는 지역 발전에 대한 강한 의지가 담겨 있었다. 그리고 "경제자유구역은 시민 삶의 질을 끌어올릴 결정적 전환점"이라고 강조했다.
의정부시는 최근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로 선정되며 경기북부 발전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미군이 반환한 공여지를 중심으로 첨단산업 거점을 조성하겠다는 청사진은, 군사도시 이미지와 베드타운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정부의 시대적 과제를 담고 있다.
- 왜 ‘경제자유구역’인가… 규제 덫에 묶였던 의정부의 반전 시도 -
경제자유구역은 정부가 외국인 투자유치와 첨단산업 육성을 위해 지정하는 특별구역이다. 외국 기업 유치를 촉진하고, 국세·지방세 감면, 규제완화, 인프라 확충 등의 혜택이 주어진다.
의정부는 그동안 수도권 규제와 군사 규제라는 이중고 속에서 산업 기반을 확장하기 어려웠다. 이에 시는 반환된 미군 공여지를 활용해 첨단산업 유치와 경제구조 개편을 추진 중이다. 김 시장은 “의정부를 단순한 베드타운이 아닌, 북부 경제의 중심으로 만들겠다”고 밝혔다.
- 지정 대상지는 어디?… CRC, 캠프카일 중심 -
의정부시가 제출한 경제자유구역 후보지는 가능동 CRC 부지와 금오동 일대 캠프카일 부지다. 시는 여기에 더해, 미반환 상태인 캠프잭슨과 캠프스탠리까지 반환이 완료되는 대로 추가 지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에 계획되었던 아파트 및 물류단지 조성 방식에서 탈피해, 이들 지역을 인공지능(AI), 바이오메디컬, 미디어 등 첨단산업 중심의 산업지구로 바꾸는 것이 핵심 전략이다.
- 어떤 변화가 기대되나… ‘삶의 질’까지 바꾸는 미래 도시 구상 -
의정부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최종 확정되면 다음과 같은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첫째, 단순 제조업을 벗어나 고부가가치 산업이 자리 잡는다. 둘째, 청년층과 전문 인력의 유입으로 양질의 일자리가 늘어난다. 셋째, 도로·철도·의료 등 도시 인프라 확충이 병행된다. 넷째, 경원선 축을 중심으로 경기북부 첨단산업 생태계가 형성된다.
궁극적으로는 시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되는 ‘선순환 도시’ 모델이 실현된다는 구상이다. 김 시장은 “첨단기업이 들어오면 소득이 높아지고, 교육과 문화 수준도 함께 올라간다”고 설명했다.
- ‘하룻밤의 성과’ 아냐… 민선8기 이후 전방위 준비 -
이번 후보지 선정은 단기간의 행정성과가 아니다. 의정부시는 민선8기 출범 직후 전담팀을 구성하고, 타당성 조사와 전략 입지분석 등 정밀한 준비작업을 진행해왔다. 기업 유치 설명회 개최, 공공기관과의 협의, 산학협력 등 지정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다각적 노력이 이어졌다.
전담 공무원들은 현장을 직접 뛰며, 수도권 북부에 실현 가능한 첨단산업 유치 전략을 마련했다. 김 시장은 “경제성 있는 개발계획과 전략산업 기반을 토대로 최종 지정을 향한 여정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 군사도시에서 ‘첨단생태도시’로… 의정부의 미래는? -
의정부는 70여 년간 미군 주둔과 각종 규제 속에 ‘안보의 도시’로 존재해왔다. 하지만 이제 그 틀을 깨고, 누구나 머물고 싶고 투자하고 싶은 첨단 산업도시이자 생태문화도시로의 대전환을 선언했다.
의정부시의 최종 목표는 단순한 개발이 아니다. 시민 개개인의 삶을 바꾸는 도시혁신이다. 김 시장은 “우리가 겪었던 오랜 희생의 시간을 희망으로 바꾸는 계기”라며 “시민들의 지지와 응원이 가장 큰 힘”이라고 강조했다.
이코노미세계 / 김나경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