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세계 = 김나경 기자] 지난달 20일, 경기도 포천시 하늘은 거센 물줄기로 뒤덮였다. 시간당 94mm라는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며 도로는 강이 되고, 주택과 공장은 물에 잠겼다. 산사태가 발생한 마을에서는 주민 대피령이 내려졌다. 한순간에 도시 전체가 재난의 한복판에 섰다.
이후 17일간, 포천은 멈추지 않았다. 시청 직원들은 비바람 속에서 침수지역을 누비고, 시민과 자원봉사자들은 피해 복구에 팔을 걷었다. 그리고 8월 6일, 정부가 포천시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백영현 시장은 담화문을 통해 “이번 선포는 시민 모두가 함께 만든 성과”라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지난달 20일 오후, 포천시 북부 지역부터 시작된 폭우는 불과 몇 시간 만에 시 전역을 마비시켰다. 기상청 관측에 따르면 시간당 최고 94mm의 강수량은 최근 10년간 포천에서 관측된 것 중 가장 높은 수치였다.
침수 피해는 생활 터전을 직격했다. 신읍동 한 주택가의 거실에는 허리 높이까지 물이 차올랐고, 군내면 소재 일부 공장은 기계 설비가 전부 물에 잠겨 가동이 중단됐다. 지방도와 농로는 토사 유출로 끊기고, 일부 마을에서는 산사태로 인한 고립이 발생했다.
수재민 김모(68)씨는 '마당에 있던 장독대가 떠내려가고, 집 안 냉장고가 쓰러졌다. 하루아침에 살림이 망가졌죠.라고 했다.
이에 포천시는 재난 발생 직후 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하고 전 공무원을 현장에 투입했다. 도로 복구, 배수작업, 임시주거시설 마련 등이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졌다.
특히 시는 피해 규모가 심각하다고 판단, 곧바로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을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김용태 국회의원, 김동연 경기도지사 등 지역 정치권이 힘을 보탰다. 수차례 중앙부처를 방문해 피해 상황을 보고하고 필요성을 강조했다.
백영현 포천시장은 '재난 복구는 속도가 생명이다. 피해 주민이 하루라도 빨리 일상을 회복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쏟아부었다.'
포천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가 있었다. 청년단체와 종교계, 상공인회가 모여 긴급 모금 활동을 벌였고, 자원봉사센터는 연일 인력을 피해지역에 파견했다.
군내면 한 마을에서는 이웃들이 힘을 모아 무너진 축대를 다시 쌓았다. 포천자원봉사센터에 따르면 폭우 피해 복구 현장에는 하루 평균 300여 명이 참여했다.
자원봉사자 이모(42)씨도 '물에 잠긴 집을 청소하러 갔는데, 주인 어르신이 눈물 흘리며 고맙다고 하셨다. 그 한마디에 피곤이 싹 가셨죠.라고 했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면 피해 주민과 소상공인은 복구비 외에 재난지원금과 세제 감면, 전기·수도 요금 감면 등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복구비 부담도 줄어들어, 보다 신속하고 장기적인 복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행정안전부는 이번 선포에 따라 주택 피해 복구, 농경지 정비, 도로와 교량 복구 등에 국비를 지원할 예정이다.
백영현 시장은 담화문에서 “끝까지 책임행정을 다하겠다”며 재난 재발 방지 의지를 밝혔다. 시는 향후 하천 정비, 배수로 확장, 산사태 취약지 보강 등 근본적 예방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피해 주민을 대상으로 한 심리 상담과 재활 프로그램도 마련할 계획이다. “물리적 복구뿐 아니라, 재난이 남긴 상처를 치유하는 것이 진정한 회복”이라는 것이 시의 입장이다.
포천은 이제 복구와 예방, 두 축을 중심으로 재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이번 경험이 재난 대응 시스템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재민 김모씨는 “힘든 시간이었지만, 이웃과 함께 버텼기에 이겨낼 수 있었다”며 “포천이 다시 예전처럼 활기찬 도시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특별재난지역 선포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니다. 그것은 시민이 함께 만든 회복의 길이며, 포천이 다시 일어설 수 있다는 신호탄이다.
이코노미세계 / 김나경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