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적 파급 효과와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 기대

[이코노미세계] 남양주시가 수십 년간 도심 속 ‘화약고’로 불려온 불암산 일대 무속 관련 불법 건축물 55개소를 행정대집행으로 전면 철거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불법시설 철거를 넘어 산불 위험 제거, 주민 안전 확보, 자연환경 복원, 나아가 도시 브랜드와 경제적 경쟁력 강화라는 다층적 의미를 지닌다.
불암산 불법 건축물 문제는 1985년 이전부터 뿌리내렸다. 굿당, 주거용 컨테이너, 조리·취사시설 등이 산자락 곳곳을 점유하면서, 불법 전기선·LPG 가스통·유류통이 무단 설치돼 산불 위험을 키웠다. 시는 지난 수년간 자진 철거 계고와 시정명령을 반복했지만 이행되지 않았고, 결국 2024년 강제 행정대집행으로 이어졌다.
행정대집행에는 소방·경찰·공무원 등 80여 명과 굴삭기 등 중장비가 투입됐다. 철거 면적만 총 91만㎡가 넘는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정비가 아니라 시민 안전과 직결된 ‘공공재 회복’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불암산 정비 사업은 안전 확보를 넘어 지역 경제에도 다양한 파급 효과를 가져올 전망이다.
불암산은 수도권 동북부 대표 산림 자원이다. 불법시설 철거 후 자연경관이 복원되면 등산객과 관광객 증가가 예상된다. 이에 따라 인근 식당·카페·숙박업 등 상권 매출이 확대될 수 있다. 실제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도시 인근 산림 정비 후 방문객 수가 평균 15~20% 증가해 연간 수십억 원의 소비지출 유발 효과가 발생한다.
도심 속 환경·안전성이 부동산 가격에 직접 반영되는 것은 이미 입증된 사실이다. 불암산 일대 아파트 단지 주민들은 “안전성과 쾌적성이 확보되면서 향후 자산 가치 상승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국감정원 통계에 따르면, 도심 내 공원·녹지 개선 사업 이후 반경 1km 내 아파트값은 평균 3~5%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불법시설 유지로 인해 반복적으로 발생하던 화재 진화·안전 점검 비용도 줄어든다. 장기적으로는 공공안전망 강화와 예산 효율성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도시경제 전문가 이재훈 경기대 교수는 “불법시설 철거는 단순히 안전 확보 차원을 넘어 도시 경쟁력 강화 전략”이라며 “쾌적한 환경 조성은 관광·부동산 시장의 긍정적 파급 효과를 불러오고, 지역경제 선순환 구조를 촉진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환경정책 전문가 박은영 연구원은 “불암산은 서울·남양주·구리 등 수도권 동북부 주민이 공유하는 생활권 산림”이라며 “지속가능한 관리 체계를 구축하면 향후 국립공원 수준의 브랜드 가치로 발전할 가능성도 크다”고 강조했다.
주광덕 남양주시장은 “수십 년간 발목을 잡던 불법 건축물 문제를 드디어 종결지었다”며 “이번 조치는 시민 안전을 지키고 불암산을 시민 품으로 돌려주는 역사적 전환점”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관계기관과 협력해 흔들림 없는 행정을 펼쳐나가겠다”며 강력한 의지를 보였다.
한편 불암산 불법 건축물 철거는 단순한 정비 사업이 아니라 안전·환경·경제·브랜드 가치 제고라는 다층적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도시재생 프로젝트다. 불암산이 ‘도심 속 화약고’에서 ‘수도권 생태·경제 자산’으로 거듭날 수 있을지, 남양주시의 후속 관리와 전략이 주목된다.
이코노미세계 / 김나경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