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장 혼란·형평성 논란…“시민 삶의 질 향한 최소한의 안전망 필요”

[이코노미세계] 늦은 밤, 일산의 한 동네 체육관. 땀에 젖은 젊은 지도자가 마지막 제자에게 스트레칭을 지도한다. 그리고 “내일은 또 버틸 수 있을까”라는 걱정을 안고 불을 끈다.
같은 경기도 다른 도시는 ‘체육인 기회소득’ 제도로 최소한의 보상을 받지만, 고양시는 여전히 그 혜택에서 비켜나 있다. “왜 우리만 안 되나요?” 체육 현장의 목소리가 서서히 정치의 무대 위로 번져가고 있다.
생활체육 동호회 회원 김은정(가명·47) 씨는 주말마다 배드민턴 라켓을 쥔다. “옆 동네 친구는 지도자도, 심판도 지원금이 나온다는데 우리는 아무것도 없다더라”며 씁쓸함을 내비쳤다.
한 체육 지도자는 “체육은 성적보다 사람을 키우는 일인데, 정작 현장에서 땀 흘리는 우리는 지원을 못 받는다”며 “아이들을 가르칠 때마다 ‘내가 계속 버틸 수 있을까’ 하는 고민이 따라온다”고 말했다.
체육인 기회소득은 성적이 아닌 ‘삶’을 위한 제도다. 경기장에서 메달을 따는 소수만이 아니라, 묵묵히 시민 곁에서 운동을 가르치고 건강을 지키는 이들을 위한 사회적 보상이다. 이는 체육을 단순한 ‘경쟁의 장’이 아닌 ‘공동체의 삶’으로 바라보는 정책적 전환점이기도 하다.
공소자 고양시의원은 제297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체육 정책의 핵심은 형평성과 지속성”이라며, “체육인의 사회적 기여가 인정받아야 시민의 삶의 질도 높아진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체육은 단순한 취미가 아니다. 야근 후 동네 체육관에서 흘린 땀 한 방울, 주말마다 함께 달리는 마라톤 동호회의 발걸음은 시민들의 삶을 지탱하는 ‘숨구멍’이다.
고양시는 경기도 24개 시·군 가운데 유일하게 이 제도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 중 하나다. 일부 홍보 과정에서 고양시에도 적용되는 듯한 메시지가 퍼지면서 현장의 혼란은 더 커졌다.
이와 관련해 공소자 의원은 제도적 보완, 예산 구조 개편, 중장기 체육 복지 로드맵 마련을 주문했다. 그리고 체육은 기록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삶을 위한 것이다. 또, 땀 흘린 자리를 존중받을 때, 체육인들의 직무 만족은 시민의 건강과 공동체의 활력으로 되돌아온다.
고양시가 ‘체육인 기회소득’을 도입한다면, 작은 체육관의 불빛은 단순한 땀방울이 아닌 도시 전체를 밝히는 희망의 빛이 될 것이다.
이코노미세계 / 김병민 기자 bmk8899@naver.com
[저작권자ⓒ 이코노미세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